이 시는 한국적 풍류와 인생의 조화로움을 노래합니다. “구름이 피어오르는 천상은 낙원 같고”에서 시작되는 구절은 자연의 경이로움과 인간의 평화로운 삶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무릉도원적 세계를 그립니다. “청빈한 산촌의 선비”와 “일하는 시골의 농부”는 서로 다른 삶의 방식 속에서도 고상함과 여유로움을 함께 나누는 존재들입니다. “꽃은 반쯤 피었을 때 좋고, 술은 약간 취했을 때 온화하다”는 구절은 절제 속의 아름다움, 담백한 인생의 철학을 담고 있으며, 마지막의 “무릉도원이 따로 있나 이만하면 으뜸이로다”는 현실 속에서도 마음이 풍요하면 그곳이 곧 낙원이라는 깨달음을 전합니다.나는 이 시를 통해, 한국적 삶의 품격과 풍류의 미학, 즉 “자연과 인간이 함께 익어가는 삶의 온도”를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이민식
德崇 李敏植
작품수3
모든 작품(3)
이민식2025. 10. 23.
한시0
0
이 시는 감정의 균형, 즉 ‘중용의 마음’을 노래한 작품입니다. 기쁨에 들떠 으스대는 것도, 분노와 번민에 빠지는 것도 모두 헛된 감정의 소모임을 말합니다. 삶은 본디 기쁨과 슬픔, 환희와 애수가 함께 있는 자리이고, 그 어느 쪽에도 지나치게 기울지 않는 평정의 상태가 가장 깊은 깨달음입니다. 마지막 구절의 “매우 즐겁게 모두 살아간다고 웃을 일도 아니네”는 체념이 아니라, 감정의 초월과 내면의 고요함을 뜻합니다.나는 이 시를 통해, 감정의 파도에 휩쓸리지 않고 그 너머의 평온을 찾는 — 인간의 성숙한 마음의 경지, 그 단단한 고요를 그리고 싶었습니다.
이민식2025. 10. 23.
한시0
0
이 시는 자연의 아름다움 속에서 인간의 덧없음을 성찰한 작품입니다. 푸른 하늘과 붉은 노을, 그 사이에 서 있는 나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점점 늙어감을 느끼며 “무엇을 내려놓아야 진정 자유로울까”를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가을은 언제나 끝과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계절입니다. 단풍이 가장 붉을 때가 바로 떨어질 순간이듯, 인생도 가장 찬란할 때가 지나가면 고요한 이별을 맞이하지요. 이 시를 쓸 때 나는 슬프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세월의 흐름을 자연의 이치로 받아들이는 평안함을 느꼈습니다. 욕심을 놓을 때 비로소 남는 것, 그것은 사라짐이 아니라 맑은 자유의 빛이었습니다.
이민식2025. 10. 15.
한시0
3